유월절. 이스라엘 민족에게 중대한 규례이자 영원한 절기다. 하나님께서 최초로 유월절을 제정해주실 때 “영원한 규례로 대대히 지켜야 하는 절기”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에서 해방되기 직전부터 약속의 땅 가나안에 도착하기까지 세 번의 유월절을 지킨 역사가 있다.
첫 번째 유월절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
지금으로부터 3500년 전,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1월 14일 저녁에 유월절을 지켰다. 집집마다 어린양의 피를 문지방에 바르고 신을 신고 손에 지팡이를 쥔 채 서둘러 고기를 불에 구워 먹었다.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을 치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라 하매 백성이 머리 숙여 경배하니라 (출애굽기 12:27)
유월절 밤, 이스라엘 백성은 장자를 멸하는 재앙에서 보호하심을 얻었다. 반면 유월절을 지키지 않은 애굽의 모든 장자들은 죽음을 당했다. 심지어 애굽 소유의 가축의 첫 새끼까지 죽음을 당했다. 하나님의 권능에 놀란 애굽 왕은 그제야 모세의 요구대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해방시켜주었다. 패물과 의복까지 내어주면서 애굽을 떠나라고 재촉했다. 단 한 명의 이스라엘 백성들의 희생 없이 절대권력자의 무릎을 끓게 만든 역사였다.
두 번째 유월절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

애굽을 탈출한 이스라엘 백성 앞에는 광활한 바다가 가로막고 있었다. 최대 수심이 3,040m에 달하는 홍해바다가 떡하니 이스라엘 백성 앞에 펼쳐진 것이다. 다행히도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홍해바다가 양쪽으로 갈라지는 기적을 체험했고, 깊은 바다 한가운데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었다.
애굽 땅에서 나온 다음 해 정월에 여호와께서 시내 광야에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으로 유월절을 그 정기에 지키게 하라 ··· 정월 십사일 해 질 때에 시내 광야에서 유월절을 지켰으되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것을 다 좇아 행하였더라 (민수기 9:1~5)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을 떠나온 지 2년째 되는 해, 그들은 시내 광야에 도착했다. 1월 14일이 다가오자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불러 유월절 지킬 것을 당부하셨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서 명하신 대로 1월 14일 저녁에 시내광야에서 유월절을 지켰다.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정결함과 죄 사함을 받을 수 있었다(역대하 30:17~18 참조).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들과 하나님 사이에 무척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유월절을 영원한 규례로 명하시고 출애굽 이듬해에도 지키라고 거듭 말씀하신 것이다.
세 번째 유월절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

40년 동안의 광야생활을 이어갔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리고 평야에서 세 번째 유월절을 지켰다. 가나안 입성을 코앞에 두고 지킨 유월절이었다.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이르시되 너는 부싯돌로 칼을 만들어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다시 할례를 행하라 ··· 이스라엘 자손들이 길갈에 진 쳤고 그 달 십사일 저녁에는 여리고 평지에서 유월절을 지켰고 ··· 그 해에 가나안 땅의 열매를 먹었더라 (여호수아 5:2~12)
할례를 행하라는 의미는 유월절을 지키라는 의미와 상통된다. 유월절은 할례를 행하지 않고서는 지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출애굽기 12:48 참조). 이스라엘 백성들 중 광야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할례를 받지 못했다. 이는 곧 유월절을 지키지 못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유월절을 지키기에 앞서 할례부터 행하라고 명하셨던 것이다.
하나님의 명령대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리고 평야의 ‘길갈’이라는 곳에서 유월절을 지켰다. 그리고 다음날 드디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 가나안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처럼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에 도착하기까지 세 번의 유월절을 지킨 역사를 가지고 있다.